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담소21

[손경제] (상담소) 4월말 퇴직이 돈을 더 받을 수 있는 이유는? 퇴직후 연말정산처리는? 8/17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4월말 퇴직이 돈을 더 받을 수 있는 이유는? 퇴직후 연말정산처리는? A : 날짜로 일할 계산 후 30을 곱해 한달치 평균 월급을 산정하기 때문에 3달치 날짜가 적은 4월말이 가장 평균월급이 커짐. 퇴직후 이직을 안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때 직접 처리해야함 1. 퇴직금 계산은 보통 "3달치 평균 임금 x 근속연수"로 알려져 있음 2. 연기서 3달치 평균 임금은 명세서에 찍힌 받았던 3달치 평균 금액이 아니고 일할 계산을 하게 됨 3. 예를들어 마지막 근로일 포함된 3달의 날짜가 31일/30일/31일 이었다면 92로 3달치 월급을 나누고 30을 곱해서 구함 4. 따라서 날짜가 적은게 유리하기 때문에 28일(2월)/31일(3월)/30일(4월)로 계산되는것이 퇴직금 .. 2023. 11. 12.
[손경제] (상담소) 연봉이 높아 연금저축 세액공제 환급율이 낮은데 아내가 가입하는게 나을까? 8/18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연봉이 높아 연금저축 세액공제 환급율이 낮은데, 아내가 가입하는게 나을까? A : 세액공제 환급율이 높아도 낸 세금이 적으면 다 환급받을 수 없기때문에 계산을 잘 해봐야 함 1. 연금저축과 IRP에 납입하면 연말정산에 세액공제가 있음 2. 근로소득 5500만 초과면 13.2%, 이하면 16.5% 세액공제 / 종합소득액 4000만원 초과시 13.2% 아니면 16.5% 3. 소득이 적으면 16.5% 세액공제 대상이지만 낸 세금도 적기 때문에 세액공제될 가능성도 적음 4. 다만 연 5500만 미만의 연봉이면 연금저축납입을 배우자로 변경하면 유리함 5. 중소기업에 취업시 만 34세 이하거나 경력단절 여성은 소득세 90% 감면됨 (IMO) 연금저축에 대한 세액공제는 잘.. 2023. 11. 6.
[손경제] (상담소) 명의변경도 부부간 증여로 되는건지? 증여시작시점은 언제부터인지? 8/21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명의변경도 부부간 증여로 되는건지? 대출상환도 증여가 되는건지? 증여시작시점은 언제부터인지? A : 명의가 바뀌게 되면 부부간 증여로 보고, 단독명의시 같이 대출상환해도 증여가 되며, 첫번째 증여가 발생한 시점이 시작 시점이 됨 1. 공동명의에서 팔고 단독 명의로 되면 증여로 봐야함. 금전적 기준이 한쪽으로 전달 된거라 보기 때문임 2. 맞벌이인데 단독명의 대출금을 같이 갚아도 증여로 봐야함. 역시 금전적으로 한쪽으로 전달 되고 있기 때문임. 3. 부부간 증여를 할때 증여공제가 있는데 이 금액은 10년간 6억임 4. 이 10년의 시점은 첫번째 증여가 이루어진 시점임 5. 세금이 없다고 신고를 안했다가 나중에 가산세를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신고를 하는 것이 좋음.. 2023. 11. 2.
[손경제] (상담소) 해외지수 추종 ETF를 국내계좌로 굴릴지? 해외계좌로 굴리는게 유리할까? 8/22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해외지수추종 ETF를 ISA계좌와 해외계좌 중 어디가 더 유리할까? 장단점은? A : 둘다 굴려서 미국계좌서 250만원 수익이 되는 만큼 매도 하고 ISA로 전환해서 계속 굴릴다. 1.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한국시장에 있으나 미국시장에 있으나 이론적으론 같이 움직임 2.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은 미국은 연간 수익 250만원까지 면제. 이후는 22% 과세. 국내는 15.4% 과세 3. ETF의 배당금인 분배금에 대해 미국은 15% 과세. 한국은 15.4% 과세. 한국계좌로 미국ETF 분배금은 15%만 과세 (조세협정) 4. 한국에서 ETF를 거래 할거면 ISA계좌로 하는 것이 유리함. 계좌를 3년 유지할 시 수익 200만원까지 비과세. 초과는 9.9%만 과세... 2023. 11. 1.
[손경제] (상담소) 개인연금과 퇴직연금 수령을 언제 하는것이 좋을까? 8/23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개인연금과 퇴직연금 수령을 언제 하는 것이 좋을까? 디폴트옵션은 무엇인지? A : 개인연금은 연간 수령액을 맞추고, 퇴직연금은 일찍부터 받기 시작하는 게 좋음. 디폴트 옵션은 돈을 그냥 방치하지 않고 선택한 방침대로 굴려주는 제도. 1. 개인연금은 일시금보단 연금으로 수령해야 5.5% 이하의 세금만 내게 됨. 2. 개인연금은 2024년부터 연간 1500만 원 수령까지는 연금소득세로 적용. 이상이면 16.5% 분리과세 or 다른 소득합산 종합소득세로 선택하여 세율이 정해짐 3. 퇴직연금은 일시금으로 받지 않고 연금으로 받으면 원래 세금의 30% 할인을 해줌. 4. 퇴직연금은 55세부터 10년간 액수는 균등하지 않아도 되도록 나눠 받을 수 있음 5. 디폴트 옵션이.. 2023. 10. 31.
[손경제] (상담소) 종신보험 해약하고 목돈을 굴릴지 아니면 유지해야 할지? 8/24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종신보험을 해약하고 목돈을 다른 곳에 투자해야 할까? 다른 용도로 전환하면 좋을 것은? A : 오래 납입한 보험이니 그대로 두는 게 낫고, 연금전환은 비추천. 그리고 일부해약기능은 있음 1. 종신보험은 납입금액과 해약환급금만으로 특약사항 내용 및 보장을 알 수 없음 2. 종신보험은 납입기간이 있으나 효력은 계속됨 3. 종신까지 보험료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일할 수 있는 나이 때 몰아서 보험료를 납부하는 구조(10~30년) 4. 일반 주보험 외에 특약 보험사항에 대한 내용, 보장범위 등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함 5.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전환한다는 것은 종신보험을 해약하고 그 해약 환급금을 연금형태로 주는 것임. 매우 손해임 6. 정 목돈이 필요하다면 일부 해약기.. 2023. 10.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