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4일 '친절한 경제'코너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해외송금 중 전산조작을 하면 정산시 걸리게되서 그 나라는 국제적 고립이 됨
1. 전산상 해외 송금은 국가간 중간에 은행을 끼고 거래를 하게 됨
2. 정부 부정 압박을 해도 은행은 이익이 없어서 실행할 이유가 없음(결국 송금할 돈이 없거나, 미국은행계좌에서 걸림)
3. 강력한 독재국가에서 그래도 은행과 이런 전산조작을 할 경우 국제적 금융고립이 되기 때문에(스위프트 차단) 손해가 큼
(IMO) 부정한 방법은 결국 들통나게 되어있고 더 큰 무대일수록 결국 손해가 더 큼
(질문 및 해설)
해외로 돈을 보낼 때는 실제로 지폐가 이동하는 게 아니라, 그냥 전산망을 통해서 숫자로 돈이 오간다고 들었는데 지폐는 오갈 때 위조지폐인지 아닌지 확인하면 되지만 그냥 전산상의 숫자로 오가는 건 그게 진짜 존재하는 돈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확인합니까? 북한이나 이란 같은 나라에서 없는 돈을 그냥 있다고 전산을 조작해서 보내면 돈 받는 쪽은 그게 진짜 존재하는 돈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고 믿습니까?
당연히 나라들끼리 돈 거래를 할 때도 충분히 그런 의심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국가 간 돈 거래도 실제로는 은행을 중간에 끼고 거래를 합니다. 은행 계좌는 정부도 속일 수가 없으니까요? 예를 들어서, A나라에서 B나라로 돈을 보낼 때는 A나라가 갖고 있는 미국 은행 계좌에서 B나라가 갖고 있는 미국 은행 계좌로 달러로 돈을 이체합니다. 그러니까 A나라가 실제로는 돈이 없지만, 돈이 있는 척 전산을 조작해서 B나라로 보내려면 A나라가 계좌를 튼 미국 은행이 A나라를 위해서 그런 조작을 해줘야 되는데 그럴 이유는 없거든요. 마치 우리가 은행 가서, '죄송한데 오늘까지 친구한테 송금을 해야 되는데 제가 돈이 없어서요 그냥 은행이 가짜로 숫자만 찍어서 친구 통장에 돈을 좀 보내주시면 안 되나요? 은행은 그렇게 하실 수 있잖아요. 한 번만 해주세요.' 이렇게 부탁한다고 은행에 부탁 들어줄 리가 없듯이 정부야 급하면 없는 돈을 보내고 있는 척 보내고 싶기도 하겠지만, 중간에 돈 심부름을 하는 은행들은 그렇게 해서 얻는 이익이 없기 때문에 없는 돈을 있는 것처럼 전산 조작을 해 주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독재국가 정부가 나라 은행장한테 그렇게 하라고 협박하면 은행도 어쩔 수 없지 않겠느냐 그런 의심까지도 드실 수가 있는데요. 은행이 만약 그런 상황이라면 전산을 조작해서 돈을 보내는 게 한 번은 가능한데 그런 일을 한 번 저지르면 영원히 국제간 돈 거래를 못 하기 때문에 오히려 나라도 은행도 피해가 큽니다. 은행들 사이에서는 마치 단체 톡방 같은 별도의 전산망이 있어서 어떤 은행이 다른 나라 은행한테 전산상으로 돈을 보낼 수는 있고요. 실무적으로는 서로 바쁘니까 진짜 있는 돈을 보낸 건지 있지도 않은 가짜 돈을 보낸 건지 실시간으로 체크하지는 못하고 하루 종일 돈 거래를 하다가 따로 한꺼번에 정산을 하는데 정산할 때는 실제로 돈을 은행 계좌로 달러나 유로로 이체를 해줘야 되니까요? 그래서 아까 돈 보낸 거 사실은 우리가 협박받아서 가짜로 보낸 거 거였어. 그러면 들통이 납니다. 그렇게 되면 나라 은행은 은행들 사이에 단톡방에서 빼버리게 되고 그러면 나라는 앞으로 무역을 할 때 송금을 못 하게 되니까. 나라가 자칫하면 망할 수도 있어서 그런 일은 하지 않습니다.
얼마 전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는 이유로 미국이 러시아 은행들의 계좌를 동결하고 은행들 모여있는 단체 톡방인 그 스위프트라는 전산망에서도 러시아 은행들을 빼버렸는데요. 러시아가 이거 복구 안 시키면 우크라이나에서 나가는 식량 수출 선박 우리가 다 침몰시켜 버릴 거라고 협박하는 것도 아니 우리가 우크라이나를 좀 침공할 수도 있지 그게 뭐 그렇게 큰 잘못이라고 은행 거래를 막냐 이건 너무 심하다라는 의미고 그만큼 은행들 단톡방에서 제외시키는 건 아주 무서운 제재이기 때문에 그러는 겁니다.
'[손경제]친절한경제&상담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경제] (상담소) 특례보금자리론 받기 전 예금을 해지해서 대출액을 줄이는게 나을까? 아닐까? (2) | 2023.10.14 |
---|---|
[손경제] (상담소)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산 거래에 대해 현금영수증 발행요청을 할 수 있을까? (0) | 2023.10.13 |
[손경제] (친절한경제) 통화량의 종류(M1,M2,Lf 등)가 다양한데 여러 종류가 따로있는 이유는? (0) | 2023.10.07 |
[손경제] (친절한경제) 중국 부동산 개발회사의 부실을 중국은 그냥 돈으로 막아주면 되지 않을까? (0) | 2023.10.07 |
[손경제] (친절한경제) 우리나라가 중진국 함정에 안 빠진 이유는? 다른나라도 그런 경우가 있을까? (1)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