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손경제33

[손경제] (상담소) IRP의 TDF는 안전자산일까? 8/25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IRP의 TDF상품은 안전자산일까? 그리고 IRP의 주의할 점은? A : TDF는 안전자산으로 취급함. IRP의 단점은 일부해약이 불가능함 1. 연금계좌 DC형과 IRP는 안전자산을 30%이상 선택해서 운용해야 함 2. 혹시 위험자산이 성과가 좋아서 70%를 초과하게 되면 후에 남은 자산을 운용하게 될때는 안전자산만 선택할 수 있음 3. TDF상품은 날짜를 정해놓고 채권과 주식이 섞여서 운용되는 혼합형 펀드임 4. TDF는 주식비중이 80%이내, 채권도 위험한 채권은 두지 못하기 때문에 7:3비율이 아니더라도 예외로 안전자산으로 함 5. IRP는 중간에 일부해약이 되지 않기 때문에 목돈 마련을 위해 연금저축펀드를 우선 납입할 필요 있음 (IMO) TDF는 안전.. 2023. 10. 27.
[손경제] (상담소) 원룸 월세 중개보수, 관리비가 포함되었는데 정확히 계산이 된걸까? 8/28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원룸 월세 중개보수의 계산에 관리비가 포함되었는데 정확히 계산이 된 건가요? A : 중개보수 계산에는 관리비를 포함시키지 않음. 일부 환불 요청을 해야 함. 1. 연간 총 월세 수입이 400만 원 이상이면 세금을 내야 하고 건강보험료도 늘어남. 그래서 월세를 낮추고 관리비를 높이는 꼼수를 부림 2. 월세 계약을 할 때 중개보수는 관리비를 제외해야 하지만 이렇게 꼼수를 부려서 관리비를 포함시킴 3. 문제는 이를 규제할 근거가 없음 4. 중개보수 계산법은 [보증금 + 100개월치 월세]가 5천만 원 이상이면 [보증금 + 100개월치 월세]*0.4%, 미만이면 [보증금 + 70개월치 월세]*0.5% 5. 계약 끝나기 전에 세입자가 나가도 중개보수는 안 내도 됨. 다.. 2023. 10. 21.
[손경제] (상담소) 특례보금자리론 받기 전 예금을 해지해서 대출액을 줄이는게 나을까? 아닐까? 8/29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특례보금자리론 받기 전 기존 예금을 해지해서 대출액을 줄이는 게 나을까? 아닐까? A : 예금금리가 더 높고 세액공제등 고려하면 예금을 그대로 유지하는 게 더 유리함 1. 특례보금자리론은 연 4.2%, 정기예금은 연 5.1%에서의 예금 해지여부에 따른 대출 고민 2. 2천만 원 이상, 등기부등본의 근저당 설정 시 대출금액의 1%만큼 국민주택 채권을 매입해야 함 3. 근로자의 경우 요건이 충족되면 원리금상환액 중 이자에 대해서 세액공제받을 수 있음 4. 이 세액공제는 대출을 많이 받을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높아짐 (IMO) 간단하게 금리 비교를 하려면 대출금리는 낮을수록, 예금금리는 높을수록 그 기간을 길게 할수록 유리함 (사연내용 및 해설) 오늘은 예금과 대.. 2023. 10. 14.
[손경제] (상담소)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산 거래에 대해 현금영수증 발행요청을 할 수 있을까? 8/30일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Q :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산 거래에 대해 현금영수증 발행요청을 할 수 있을까? A : 보통 사업자가 아니기 때문에 발행요청은 불가능하고, 사업자라고 해도 소득증빙이 어려워 불가능 1. 중고거래를 이용할 때 보통 사업자가 아니기 때문에 현금영수증 발행을 할 수 없음 2. 사업자라고 해도 사업하는 중고품만 파는 게 아니기 때문에 역시 발행이 어려움 3. 중고 물품에 대해 사고파는 것을 전문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사람을 "리셀러(receller)"라고 함 4. 이런 전문 종사자도 중고를 얼마에 샀는지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역시 판 것에 대한 현금영수증 발행이 어려움 (IMO) 중고거래는 사고파는 게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현금영수증발행은 아마 지속적으로 불가능할 것임 .. 2023. 10. 13.
[손경제] (친절한경제) 해외로 돈을 보낼 때 전산을 조작해서 돈을 보내는건 아닌지 믿을수 있을까? 8/14일 '친절한 경제'코너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해외송금 중 전산조작을 하면 정산시 걸리게되서 그 나라는 국제적 고립이 됨 1. 전산상 해외 송금은 국가간 중간에 은행을 끼고 거래를 하게 됨 2. 정부 부정 압박을 해도 은행은 이익이 없어서 실행할 이유가 없음(결국 송금할 돈이 없거나, 미국은행계좌에서 걸림) 3. 강력한 독재국가에서 그래도 은행과 이런 전산조작을 할 경우 국제적 금융고립이 되기 때문에(스위프트 차단) 손해가 큼 (IMO) 부정한 방법은 결국 들통나게 되어있고 더 큰 무대일수록 결국 손해가 더 큼 (질문 및 해설) 해외로 돈을 보낼 때는 실제로 지폐가 이동하는 게 아니라, 그냥 전산망을 통해서 숫자로 돈이 오간다고 들었는데 지폐는 오갈 때 위조지폐인지 아닌지 확인하면 되지만 그냥.. 2023. 10. 9.
[손경제] (친절한경제) 통화량의 종류(M1,M2,Lf 등)가 다양한데 여러 종류가 따로있는 이유는? 8/18일 '친절한 경제'코너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유동성 등 돈의성격으로 구분 지었으나 요즘은 중요 경제지표로 쓰이지 않음 1. 같은 액수라도 예적금, 투자금, 연금 등 성격이 달라서 구분되었음 2. 통화량은 대부분 유동성을 바꿀 수 있어서 단기적 경제 예측에 잘 안쓰임 3. 돈의 총량은 대출 등 간단 조사로 증감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통화량 지표의 중요도가 떨어짐 (IMO) 경제지표가 너무 많아서 통화량 지표는 덜 이용되고 있음 [손경제] (친절한경제) 경제지표가 너무 많은데 많은 이유와 제일 중요한 것은? 9/22일 '친절한 경제'코너 사연에 대해 정리해 본다. 경제 상황마다 중점으로 봐야 할 지표들이 달라서 많기도 하고 관점마다 우선순.. 2023. 10. 7.
반응형